2025년 비과세 예금 상품 총정리 | 이자소득세 안 내는 합법 재테크

이자소득세는 15.4%, 아무리 예금 금리가 올라도
실제 손에 쥐는 돈은 생각보다 적을 수 있어요.
그래서 최근에는 ‘비과세 예금’을 찾는 분들이 많습니다.
2025년 기준으로 가입 가능한 비과세 금융상품은 많지 않지만,
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요.
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이용 가능한 비과세 예금 상품들을 조건별로 정리해봤습니다.
비과세 예금이란?
금융기관의 예·적금, 보험, 채권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나 배당소득에 대해 기본세율(15.4%)이 아닌 **면세 또는 감면** 혜택을 적용받는 상품을 의미합니다.
1. 농·어촌 주민 비과세 예금
📌 주요 조건
- 거주지: 농어촌 지역 주민 (읍·면 단위)
- 연령: 만 20세 이상
- 소득 요건: 제한 없음
📌 상품 내용
- 비과세 한도: 3,000만 원까지
- 적용 세율: 이자소득세 전액 면제
- 가입 가능 기관: 농협, 수협, 신협 등 지역 금융기관
📌 유의사항
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읍·면 단위여야 하며,
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중복 가입 시 비과세 한도를 넘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
2.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비과세 예금
📌 대상
- 장애인복지법상 등록 장애인
- 국가유공자, 독립유공자, 5.18민주유공자 등
📌 혜택
- 비과세 한도: 최대 4,000만 원
- 기간: 무제한 가능
- 가입처: 모든 시중 은행 및 금융기관
📌 신청 방법
등록증(복지카드 등) 지참 후 은행 방문, 또는 인터넷뱅킹에서 일부 온라인 신청 가능
3. 장기저축성 보험 비과세
📌 조건
- 납입 기간: 10년 이상
- 보험료: 월 150만 원 이내
- 납입 방법: 월납 또는 연납 가능
📌 세제 혜택
- 일반 이자소득 → 비과세 전환
- 단, 중도 해지 시 과세 대상 전환
📌 주의사항
상품 가입 시 ‘비과세 요건 만족 여부’를 꼭 확인해야 하며, 비과세 혜택은 1인당 1계약 기준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4. ISA 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
📌 개요
- 가입 대상: 근로소득자, 사업소득자, 무소득자(전업주부 등)
- 납입한도: 연 2,000만 원 / 총 1억 원까지 가능
📌 비과세 혜택
- 계좌 내 수익: 연 400만 원까지 비과세
- 초과분: 9.9% 분리과세 (기존 15.4%보다 낮음)
📌 기타
ISA 계좌는 금융기관 간 1인 1계좌만 가능하며, 가입 후 최소 3년 이상 유지해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5. 재형저축 (단종)
한때 인기 있었던 ‘근로자 재산형성 저축(재형저축)’은
현재 신규 가입은 중단된 상태입니다.
기존 가입자는 만기까지 비과세 혜택을 유지할 수 있어요.
공식 출처 및 참고 링크
마무리하며
비과세 예금 상품은 많지는 않지만, 자신의 조건만 맞는다면 확실한 절세 수단이 될 수 있어요.
특히 고금리 시대에는 이자소득세만으로도 손실 체감이 큰 만큼,
미리미리 확인하고 활용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.
다음 글에서는 2025년 비과세 펀드 및 주식 절세 전략도 함께 소개할게요!